WAIK의 PE3.0 대신에 윈도우 7 boot.wim 파일 이용하기 2탄
이번에는 좀 더 쉬운(?)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.
WAIK의 PE3.0 대신에 윈도우 7의 boot.wim 파일을 그대로 이용하는 방법인데 얼마전에 포스팅했던 WAIK의 PE3.0 대신에 윈도우 7 boot.wim 파일 이용하기 방법은 약간 복잡하기 때문에 좀 더 간단한 방법을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. 아주 오래전 비스타 시절부터 이런 상상을 해봤었는데 저한테 필요가 없어서 그랬는지 몰라도 한번도 시도해보지는 않았습니다. 하지만 이번에 Bat To Exe Converter - 배치파일을 exe로 변환해주는 툴 글을 소개해드리고 나서 생각해보니 이놈을 여기에 써먹으면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
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. boot.wim 파일의 2번 이미지를 마운트한 다음 SOURCES 폴더 안에 들어있는 setup.exe 파일을 다른걸로 교체하시면 됩니다. 어차피 이 파일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구조니까요.
예를 들어 지난번 포스팅했던 고스트 자동 복구 DVD 만들기 글에 나온 스크립트를 그대로 setup.exe로 변환해서 저 자리에 넣어주시면 되겠지요? 1탄에서는 배경이 검게 나와서 좀 찝찝했는데 이 방법을 쓰면 파란색 배경화면이 잘 나옵니다.
제가 Quick BFC로 컴파일한 파일을 넣고 만들어보니 고스트 자동복구가 잘 되었습니다.
'Windows 7 > 부팅 & PE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멀티부팅 메뉴를 윈도우에서 선택 2탄 (11) | 2010.06.01 |
---|---|
멀티부팅 메뉴를 윈도우에서 선택 - iReboot (20) | 2010.04.25 |
윈도우 7 F8 컴퓨터 복구 모드가 없는 경우 2탄 (27) | 2010.03.05 |
윈도우 7 F8 컴퓨터 복구 모드가 없는 경우 (31) | 2010.03.03 |
WAIK의 PE3.0 대신에 윈도우 7 boot.wim 파일 이용하기 2탄 (25) | 2009.11.30 |
고스트 자동복구 DVD에서 DISKPART 활용 (24) | 2009.11.29 |
WAIK의 PE3.0 대신에 윈도우 7 boot.wim 파일 이용하기 (27) | 2009.11.27 |
PE를 멀티부팅 메뉴에 등록하기 (73) | 2009.11.21 |
윈도우 7 부팅 화면에 비스타 지렁이가 지나가는 경우 (91) | 2009.11.10 |
2009.11.30 07:18
고맙습니다. 스누피님!
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.
스누피님 덕분에 별 어려움 없이 잘 해결되었습니다.
완전 자동을 꿈꾸었는데, 제 머리가 한계인지라 그것도 여의치 않아서 부팅후에 메뉴선택으로 복구 하는 걸로 선택했습니다.
메뉴는 Nu2Menu 로 설정해서 완성했습니다.
2009.11.30 20:54
수동 파티션 작업이 필요할 수도 있으니 메뉴 선택하는게 더 낫죠 ^^
2009.11.30 07:32
스누피님! 질문이 있습니다.
동생 노트북을 구입했는데 윈7이 64bit 에디션
인데 32bit를 다시 설치하고 동봉된 시디키를
이용하면 인증이 되나요?
2009.11.30 08:38
노트북에 있는 시디키는 OEM 인증이고
윈7 32비트는 RTM이라면 안됩니다.
32bit OEM 이미지를 구하셔서 인증하셔야 될듯
합니다.
2009.11.30 20:57
네 가능은 한데 저같으면 COA 키는 사용하지 않고 SLP 방식으로 인증할 것 같습니다. 댓글로 설명드리긴 좀 힘들겠네요.
아무튼 궁금해하시는 비트와 시디키 관련 부분에 대한 답변은 시디키는 비트나 언어를 구분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.
2009.11.30 09:11
이 방법을 쓰면 VHD 파일을 쉽게 복사하게 할 수 있겠네요. 감사합니다.
2009.11.30 11:34
비밀댓글입니다
2009.11.30 20:58
맥은 전혀 몰라서 제가 공부를 해야하는 부분입니다.
2009.11.30 16:55
뭐 이런 방법이...!! 분노다! ㅠㅠ
앟 이렇게 해서 먹히는 줄 진작 알았으면..
2009.11.30 20:48
감사합니다~^^ 이방법이 정말 편하네요~
역시 스눕님은 대단하시네요!
2009.11.30 20:57
..;; 그러면 비스타 인스톨 디스크에서도 이 방법이 적용 가능하겠네요 ... 뭔지 모르게 약간 허무하기도 ㅋㅋ..
2009.11.30 22:01
네 비스타도 마찬가지입니다.
2009.12.11 09:38
비밀댓글입니다
2009.12.11 12:53
setup.exe 바꾼 다음 언마운트 커밋 하셔야 변경사항이 저장됩니다.
UltraISO로 하실 생각이라면 윈도우 7 32비트 원본파일을 열어서 SOUCES 폴더 안에 들어있는 파일 전체를 삭제한 다음 그 안에 수정한 boot.wim 파일을 넣습니다. 그리고 메인에는 BOOT 폴더와 BOOTMGR 파일만 남겨둡니다. 그리고 고스트32 파일과 GHOST.GHO 파일을 넣습니다. 마지막으로 ISO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세요.
2009.12.11 17:17
감사합니다. 모두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.
저는 boot.wom 화일을 마운트한다음에 setup.exe 화일을 교체하려고 하면 엑세스를 할수 없다는 메세지가 계속나오네요..당연히 read and write 는 체크되어 있는상태입니다.다른원인이 있는것인지...
2009.12.11 17:31
하드에 파일 복사한 다음 마운트하신거 맞죠? 제 생각에 그렇다면 UAC 문제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. UAC를 끄고 재부팅 하신 다음에 다시 시도해보세요.
2009.12.11 18:23
감사합니다..친절하게 설명해주신 덕분에 성공했습니다. 너무너무 감사..
2009.12.12 11:00
비밀댓글입니다
2009.12.12 12:37
저 파일은 만능고스트 XP가 아닙니다. 제 물리컴에 쓰던거라 사실 VMWare에 풀어도 작동하지 않죠. 그냥 푸는 모습까지만 보여드린 것이고...
exe 컴파일 문제라면 bat2exe 대신에 QBFC를 사용해보세요. 이 본문의 내용은 startnet.cmd가 필요없고 바로 setup.exe만 교체해주면 됩니다.
2010.09.18 14:20
시스템 복구 디스크에 있는 boot.wim으로도 가능하죠?
2010.12.28 14:06
네.(참고로 이건 회색 hongyang 저는 파랑 hongyang ㅋㅋㅋ)
2010.12.28 13:36
http://powerwindows.co.kr/?mid=BoardAtips&page=2&document_srl=24318
처럼 setup.exe를 삭제하고 startnet.cmd 내용을 바꾸는 게 더 편하지 않을까요?
2012.06.07 16:48
필요한 작업 부분이 있어 염치없이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....
win7pe를 만들어....부팅을 하였습니다. 그런데...
설명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... 시디를 넣고 부팅을 할때 기존에 os가 하드에 있으면 . . . . . 이렇게 나올때 키보드 아무키나 누르면 시디로 부팅을 하자나요..... pe를 만들었을때도 이 문구가 나옴니다....
이걸 나오지 않게 하려면 어찌 해야 하는지요.....시디로 무조건 부팅이 되게끔 하고 싶습니다...
2014.04.19 11:33
감사함니다.
2015.01.14 04:51
U 감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