윈도우 7 복구모드 한글화
이 글은 윈도우 7 DVD의 복구모드가 아닌 윈도우 7 부팅시 F8 눌렀을 때 나오는 복구모드 한글화에 관한 내용입니다.
여담입니다만 어제와 오늘 텍스트큐브 서버가 거의 다운 수준이어서 화가 많이 났습니다. 이 글도 한시간 전에 올렸어야 할 글인데 첨부파일 때문에 아무것도 못하고 있다가 이제서야 속도가 정상화 된 것 같아서 올립니다.
설명은 간단하게 드리겠습니다.
Winre.wim 파일을 한글화 하시면 됩니다.
원본 이미지에는 Windows\System32\Recovery 폴더 안에 들어있던데 C에 설치하고 보니 C:\Recovery 폴더 안에 장문의 이름을 가진 폴더 안에 들어있더군요.
작업의 편의를 위해서 Winre.wim 파일을 C 드라이브 루트로 옮겨주세요.
그리고 MOUNT 라는 폴더를 하나 만들어주세요.
그리고 아래 첨부해드리는 파일을 아무곳에나 압축 풀어주세요. 저는 그냥 x86 이라는 폴더에 풀었습니다.
위 스샷을 기준으로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.
먼저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띄우신 다음
dism /mount-wim /wimfile:c:\winre.wim /index:1 /mountdir:c:\mount
dism /image:c:\mount /add-package /packagepath:c:\x86\.
dism /image:c:\mount /set-skuintldefaults:ko-kr
dism /unmount-wim /mountdir:c:\mount /commit
작업을 완료하셨다면 다시 원래 있던 장문의 이름 폴더 안에 넣어주세요.
저는 제 컴퓨터 C에 있는 파일 직접 수정해서 한글화 잘 된거 확인했습니다.
'Windows 7 > 기타 윈도우 7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홈 프리미엄 버전 가내수공업으로 만들어봤습니다. (71) | 2009.08.29 |
---|---|
윈도우 7 영문판에 한글 언어팩 설치 후 영어 제거하기 (91) | 2009.08.28 |
윈도우 7 모든 언어팩 다운로드 (73) | 2009.08.26 |
윈도우 7 MSDN 이미지 만들기 (37) | 2009.08.13 |
윈도우 7 복구모드 한글화 (30) | 2009.08.10 |
윈도우 7 과연 호환성이 나쁜가? (140) | 2009.07.22 |
비스타, 윈도우 7에서 파티션 분할, 합치기 (62) | 2009.07.10 |
윈도우 7 알림영역 아이콘 숨기기 (11) | 2009.06.29 |
CMD 창을 투명하게 (10) | 2009.05.20 |
2009.08.10 01:16
늦은밤까지 수고 많으십니다 ㅇㅅㅇ
밑에 수정하신 언어팩통합가이드...어제 밤에 보고하다가 언마운트에 문제가 생겨서 글 다시 볼라고했는데 글이 사라져버렸더라구요 ㅎㅎ;
2009.08.10 08:58
언마운트 에러나시는 분들이 많으시군요 ㅠㅠ 폴더가 열려있어서 그렇습니다 ㅠㅠ 본문에 추가를 해야겠군요 ㅠㅠ
2009.08.10 15:11
재부팅하고 해도 안되고 먼수를 써도 안되서 모든권한주기해서 그냥 다 삭제시켜버렸어요 ㅎㅎ;
2009.08.10 16:21
ㅎㅎ 저도 가끔 그럴 경우 언라커 같은 툴로 강제로 삭제해버리죠 ㅠㅠ
2009.08.23 14:53
마운트된 temp 화일이 삭제가 제대로 안되서 그럽니다. 언마운트후에 Dism /Cleanup-Wim 하시면 삭제됩니다. 마운트가 안되는 경우에도 사용하시면 됩니다.
2009.08.10 02:58
텍스트큐브 문제군요..
전 제블로그를 잘못 건드렷나 해서 한참 헤메고 있었는데.
지금도 역시 많이 버벅대네요.
2009.08.10 09:08
DDoS 공격 받은걸까요 ㅋ
2009.08.10 03:13
속도가 왔다갔다 하는 걸 보니 지금도 안정화는 안된 듯 하네요~
그나저나 Snoopy님은 언제 자나요?
동분서주 하루 24시간으로는 모자랄 듯 합니다만 ...
저야 덕분에 언제나 글 잘 보고 있습니다. (__)
2009.08.10 09:09
어제랑 오늘은 쉬는 날이라 ^^;; 저는 보통 1~2시에 자는 것 같아요~
2009.08.10 07:47
스눞님 감사히 잘보았습니다...잘되네요^^
한가지 더 궁금한점은 포맷후 윈도우 설치한뒤 저렇게 해주어야할텐데 아예 이미지 파일 iso안에있는 특정파일을 마운트해서 하는 방법은 없나요? 돌아다니는 파일들을 보아도 winre.wim파일은 없더라고요
2009.08.10 08:53
스누피님은 아니지만,
install.wim 이미지를 마운트 한 뒤에 Windows\System32\Recovery에 winRe.wim이 있습니다.
이걸 한글화한 winre.wim으로 교체해주시면 되요.
2009.08.10 09:09
뎁버그님께서 대신 답변해주셨네요~
2009.08.10 11:04
snoopy님 Windows 2008 Server R2는 첨부하신 저 파일을 어디에서 추출해서 쓰면되나요?
Language_Packs에서 추출해야 하나요?
텍큐속도가 아직도 비정상인지 반응이 엄청 느리네요.
2009.08.10 12:08
네 AIK DVD 안에
H:\WinPE_LangPacks\amd64\ko-kr
폴더에 있는거랑 폰트팩까지 해주시면 되겠어요.
2009.08.10 13:50
덕분에 잘 해결했습니다.
고맙습니다.
2009.08.10 15:05
뎁버그님, 스누피님 정말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 전해드립니다. 덕분에 이미지화까지 잘 처리되어서 문제없이 해결해었네요. 정말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.
2009.08.10 16:20
잘 되셨다니 축하드립니다. ^^
2009.08.10 15:16
수고 많으십니다.
저도 이제 하나씩 구해서 윈도우 7 맛을 한번 보려구요.
담주 주말쯤 시간내서 컴터 하나 구해서 해봐야겠어요 ㅎㅎ
제 컴으로는 아직 용기가 안나고
내일부터 태풍영향으로 비가 많이 올거라고 하던데
일기예보를 믿을수가 있어야죠 ^^;
그래도 우산은 챙겨야겠네요
하루에 2번은 여기 오면서
제 머리속의 폴더 정리 합니다
사실 고민 많이 되네요 윈도우 7 한글판 나오면 살까?
아니면 컴터 하나 맞추고 어둠의 경로로 구해볼까? ㅎㅎ
2009.08.10 16:23
전 비가오면 ㅠㅠ 출근(?)할 생각하니 막막하네요 ㅠㅠ
윈도우야 사실 기업, 학교, 관공서, 대기업 OEM PC로 다 판매가 되니까 개인이 구매해줄 필요까지는 없겠지만 그래도 경제력이 되시면 정품구매 하시는 것도 괜찮죠 ^^
2009.08.10 18:06
스누피님 ㅠㅠ저번에 여쭤본 질문에 대한 답변 도움 많이됐어요~~덕분에 XP 다시 잘 깔았습니다. ㅎㅎ
근데 또 이렇게 댓글에 여쭤보게 되네요 ㅠㅠ
제가 서비스팩 3 버전을 받앗는데 제 마이크 유에스비가 서비스팩 2에만 되서요 . 서비스팩 3을 지우고 2로 바꿔야 겠는데 인터넷에 뒤져도 프로그램 추가/제거에서 지우라던가 C:\WINDOWS\$NtServicePackUninstall$\spuninst\spuninst.exe 여기서 spuninst.exe 파일을 지우라던데 프로그램 파일에도 없고 spuninst.exe 파일도 찾아봐도 없습니다. 아예 $NtServicePackUninstall폴더가 없어요 ㅠㅠ어떻게 해야되죠~~~?
2009.08.10 19:51
말씀하신 방식은 수동으로 SP3를 설치했을 때의 이야기이고 SP3가 통합되어 있는 버전을 설치하셨다면 삭제가 불가능합니다. 통합하면서 이미 설치 원본의 시스템 파일이 SP3로 교체되었기 때문입니다.
2009.08.11 00:49
혹시나 해서 말하는건데 LCD 사용하시는 분들중에
DVI 출력시 F8 복구모드나 윈도우부팅관리자를 한글화시켰음에도 영문으로 나오는분들은 그냥 쓰세요.
현재로선 방법 없습니다;;
참고로 저같은 경우는 DVD복구모드는 한글이지만
F8 복구모드나 윈도우부팅관리자는 영어로 나옴;
영어팩을 삭제했고, 다른PC에선 한글로 제대로 나오는거 확인했으나 제PC에선 영어로 뜸;
근데 희안한건 D-DUB 출력시엔 한글로 잘나온답니다;;
아마 그래픽카드 or 모니터 둘중에 DVI출력시
도스모드에 문제가 있는듯 싶네요.
2009.08.11 08:32
VGA 바꾸고 해결되셨더군요. 원래 ATI는 중소기업 LCD의 경우 AD보드랑 궁합이 맞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. 카탈리스트 문제도 그렇고 확실히 범용성 면에서는 ATI는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지포스를 쓰는 것이지요.
2009.08.11 11:42
비밀댓글입니다
2009.08.11 19:35
DISM은 윈도우 7에만 적용되고 PEImg를 써야 비스타 편집이 가능한데 비스타용 AIK는 SP1용만 나와있고 아마 느낌상 SP2용은 안 나올 것 같습니다. SP1용으로 편집하셔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겁니다. 어차피 배포도구는 다 똑같을테니까요.
http://www.microsoft.com/downloads/details.aspx?FamilyID=94bb6e34-d890-4932-81a5-5b50c657de08&DisplayLang=ko
2009.08.22 17:17
흐흠...
CD상으로 한글화 시디 만들려구 iso 작업했는데
windows 7 11가지 에디션 모두 winre.wim 한글화 해보니 install.wim 추출해도
install.wim이 5.03GB 더군요..
걍 나중에 설치해서 스누피님처럼 한글화 해야 겠군요 ㄷㄷ
(물론 install.wim 한글화 다 한 상태에서 복구모드 한글화 한거지만요...
2009.08.22 19:18
음... 좀 이상하네요. 제 이론상은 32,64 둘다 해도 100mb 정도만 늘어나야 할텐데... 혹시 복구모드 11개를 전부 한글화 하신건 아니죠? 32,64 한개씩만 한글화 해서 그 파일로 각각 6,5개에 사용하시면 되는데... 그래야 winre.wim 파일이 동일한 파일로 처리되기 때문에 용량이 크게 증가하지 않습니다.
2009.08.23 10:53
아... 그런거였군요... 전 11개 모두 한글화 했는데..
이래서 머리가 나쁘면 손발이 고생한다는 말이 맞네요ㅠ.ㅠ
32비트 64비트 각각 1개씩만 한글화 한다음에 그 파일을 나머지 에디션의 한글화 안 한 winRE.wim을 한글화 한걸로 바꿔치기해서 install.wim을 추출하면 되는건가요.. 스누피님 감사합니다.
2009.08.23 14:06
네 정확히 캐치하셨습니다 ^^
2011.02.13 01:37
이게 7600에서 만들어졌던건지 제 윈도우7이 7601인데 위에 설명해주신 부분
cmd에서 작업 도중 오류가 발생합니다.아무래도 7601인 탓에 그런것 같은데..
이건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?